greenfishx5 님의 블로그

녹색물고기의 잡다한 지식 창고

  • 2025. 3. 26.

    by. greenfishx5

    목차

      근골격계 질환은 근육, 뼈, 관절, 인대, 신경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의학 용어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어려운 의학 용어를 쉽게 풀어 정리하여, 근골격계 건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한다.


      1. 근골격계의 기본 구조 관련 용어

      1) 근육(Muscle)

      • 골격근(Skeletal Muscle): 우리가 의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 팔, 다리, 등, 복부 근육 등이 포함됨.
      • 평활근(Smooth Muscle): 내장기관을 감싸고 있는 근육으로, 소화운동 등 자동적으로 작동함.
      • 심근(Cardiac Muscle): 심장을 이루는 근육으로, 자율적으로 수축하여 혈액을 순환시킴.

      2) 관절(Joint)

      • 활막관절(Synovial Joint): 윤활액이 들어 있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관절(예: 무릎, 어깨, 손목).
      • 연골(Cartilage): 뼈 사이를 보호하는 조직으로, 마찰을 줄이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함.
      • 관절낭(Joint Capsule): 관절을 감싸는 보호막으로,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함.
      • 활액(Synovial Fluid): 관절 내부에서 윤활 역할을 하는 액체로, 관절염이 있으면 염증이 생길 수 있음.

      3) 뼈(Bone)

      • 골밀도(Bone Density): 뼈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낮아지면 골다공증 위험이 커짐.
      • 골수(Bone Marrow): 뼈 내부에서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조직.
      • 골절(Fracture): 뼈가 부러지는 현상. 외상뿐만 아니라 골다공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음.

      4) 인대 및 힘줄(Ligament & Tendon)

      • 인대(Ligament): 뼈와 뼈를 연결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조직.
      • 힘줄(Tendon):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조직으로, 근육의 힘을 뼈에 전달하여 움직임을 만든다.
      • 염좌(Sprain):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손상. 발목 염좌가 대표적이다.

      2. 주요 근골격계 질환 관련 용어

      1) 퇴행성 질환(Degenerative Disorders)

      • 퇴행성 관절염(Osteoarthritis): 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닳아 관절에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
      • 골다공증(Osteoporosis): 뼈의 밀도가 낮아져 쉽게 골절되는 질환.
      •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이 눌리는 질환.
      • 근감소증(Sarcopenia): 나이가 들면서 근육량이 줄어드는 현상으로, 운동 부족이 원인이 될 수도 있음.

      2) 척추 관련 질환(Spinal Disorders)

      •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 Herniated Disc): 척추 사이의 디스크가 밀려 나와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
      • 거북목 증후군(Forward Head Posture, FHP):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인해 목이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
      • 척추측만증(Scoliosis):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휘어지는 질환으로, 청소년기 성장기에 자주 발생함.

      3) 관절 및 염증 질환(Joint & Inflammatory Disorders)

      •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면역계 이상으로 인해 관절이 염증을 일으키는 자가면역질환.
      • 통풍(Gout): 요산이 관절에 쌓이면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발가락 관절에서 자주 나타남.
      • 점액낭염(Bursitis): 관절을 보호하는 점액낭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

      4) 어깨 및 손목 질환(Shoulder & Wrist Disorders)

      • 오십견(동결견, Frozen Shoulder): 어깨 관절이 굳어져 움직이기 어려운 상태.
      • 회전근개 파열(Rotator Cuff Tear): 어깨를 감싸는 근육과 힘줄이 손상되어 통증과 운동 제한이 발생하는 질환.
      •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손목 신경이 압박되어 손 저림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의학 용어 쉽게 정리하기


      3. 주요 증상 및 검사 관련 용어

      1) 주요 증상(Symptoms)

      • 만성 통증(Chronic Pain):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근육이나 관절의 통증.
      • 운동 제한(Limited Range of Motion, ROM): 관절이 정상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상태.
      • 부종(Swelling): 관절이나 특정 부위가 붓는 증상으로, 염증이 있거나 체액이 고여 발생함.
      • 강직(Stiffness): 관절이 뻣뻣하고 움직이기 힘든 상태.

      2) 진단 및 검사(Diagnosis & Tests)

      • X-ray(엑스레이): 뼈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영상 검사.
      • MRI(자기공명영상법, Magnetic Resonance Imaging): 근육, 인대, 디스크 등의 연조직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
      • CT(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뼈와 관절의 정밀한 단면을 확인하는 검사.
      • 초음파(Ultrasound, USG): 근육이나 인대 손상을 확인하는 검사.
      • 골밀도 검사(Bone Density Test, DEXA): 골다공증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4. 치료 및 재활 관련 용어

      1) 비수술적 치료(Non-Surgical Treatment)

      • 물리치료(Physical Therapy, PT): 온열 치료, 전기 치료, 마사지 등을 이용한 치료법.
      • 도수치료(Manual Therapy): 전문가가 직접 근육과 관절을 교정하는 치료 방법.
      • 운동치료(Exercise Therapy): 근력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높이는 재활 운동 프로그램.

      2) 수술적 치료(Surgical Treatment)

      • 관절경 수술(Arthroscopy): 작은 절개를 통해 카메라와 미세기구를 사용하여 관절을 치료하는 방법.
      • 디스크 절제술(Discectomy): 신경을 압박하는 디스크를 제거하는 수술.
      • 인공관절 치환술(Total Joint Replacement): 손상된 관절을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

      결론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용어를 이해하면 자신의 증상을 정확히 표현하고, 진단과 치료 방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기본적인 의학 용어를 익혀두면 병원에서 의료진과 소통할 때도 큰 도움이 된다.
      건강한 근골격계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운동과 올바른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